양회동 1주기 다가오는데 ‘검찰청 CCTV’ 유출 수사는 답보, 유족들 소송 예고

건설노조 “의도적으로 양회동 열사 수사만 하지 않고 있다고 볼 수밖에, 신속히 수사해야”

민주노총 건설노조와 고 양회동 씨의 유가족들이 22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앞에서 CCTV 유출 사건에 대한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민주노총 건설노조


윤석열 정부의 ‘건설노조 탄압’에 항거하며 분신한 건설노동자 양회동 씨가 사망한 지 1년이 다 되어가지만, 그의 죽음을 두고 모욕적인 의혹을 제기했던 조선일보 보도와 관련된 수사는 여전히 답보 상태다. 이에 건설노조와 유가족들은 국가와 조선일보에 대한 소송을 예고했다.

민주노총 건설노조는 22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열사가 억울함을 호소하며 세상을 떠난 지 1년이 되고 있지만, 아직도 윤석열 정부의 어느 누구도 사과하지 않고 있고 열사의 명예를 더럽힌 조선일보와 검찰청 CCTV를 유출한 자를 수사해 처벌하라는 유족과 건설노조의 요구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경찰은 지난 1년간 무엇을 했는가”라고 따져 물었다.

앞서 조선일보는 지난해 5월 17일 양회동 씨의 분신 상황을 담은 CCTV 영상 사진을 근거로 분신 방조 의혹을 제기했다. 당시 근처에 있던 양 씨의 동료이자 건설노조 지역 간부였던 A씨가 양 씨의 분신을 막지 않고 방조했다는 취지였다. 양 씨의 분신 당시 현장에 있던 YTN 기자도 ‘동료 목격자가 분신을 만류했다’고 밝혔음에도 조선일보는 CCTV 화면에 담긴 제한적인 상황만 부각해 기사로 내보냈다.

당시 국토교통부 장관이었던 원희룡 전 장관 역시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 기사를 바탕으로 “혹시나 동료의 죽음을 투쟁의 동력으로 이용하려 했던 것은 아닌지”라며 의혹을 확산시켰다. 보수단체는 A씨를 자살방조 혐의로 고발까지 했지만, 최근 경찰은 A씨에 대해 무혐의로 판단해 사건을 종결했다.

디지털과학수사연구소의 조선일보 기사 영상 분석 감정 중 일부. 피사체 비교 결과 감정동영상의 일부 장면과 이 사건 기사 사진에 촬영된 사람들의 위치와 착의상태가 동일한 것으로 드러났다. ⓒ민주노총 건설노조

조선일보는 보도 당시 CCTV 사진의 출처를 ‘독자 제공’이라고 표기했다. 건설노조와 양회동 씨의 유족, 분신방조 의혹을 받게 된 A씨는 그해 5월 22일 조선일보 관계자와 원희룡 전 장관, CCTV 영상 유출자를 경찰에 고발했다. 이후 전문가 감정을 통해 보도에 사용된 CCTV 사진이 분신 현장 근처에 있는 춘천지검 강릉지청 민원실에 달린 CCTV라는 사실까지 확인해 경찰에 제시했다. 경찰은 지난 1월에야 일부 피의자에 대해 조사했을 뿐 수사에는 큰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23일 민중의소리와의 통화에서 “수사 중인 사건에 대해서는 답할 수 없다”고만 말했다. 

건설노조는 “변호인 측이 두 차례나 수사 촉구 의견서까지 제출했지만 그때마다 다른 수사 핑계를 대면서 피하더니 정작 다른 수사자료 유출 사건이나 윤석열 대통령과 관련된 사건은 전광석화 같은 수사를 진행해 왔다”며 “이는 의도적으로 양회동 열사와 관련된 사건에 대해서만 수사를 하지 않고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건설노조는 “건설노조에 대한 수사와 압수수색에 대해서는 누구보다 빠르게 앞장섰던 경찰이 이 사건에 대해서만큼은 1년이나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며 “오늘 양회동 열사의 유족과 건설노조는 경찰에 다시 신속히 수사하라는 경고를 한다. 또한 조선일보에 대해 민사소송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건설노조 변호인단인 김예지 변호사는 “이 사건은 검·경 내부자가 언론에 수사 자료를 유포해 허위 사실을 적시하게 한 사건으로 중대한 비리가 관여된 사건이다. 또한 정부·여당이 ‘건폭몰이’ 중 발생한 자살 사건을 무마시키기 위해 노동 혐오를 조장한 사건”이라며 “피해자들은 이번 주 대한민국에 대해서는 국가배상청구를, 나머지 언론사 및 원희룡에 대해서는 명예 및 인격권 등의 침해에 대한 손해배상청구의 소를 제기할 예정”이라고 예고했다.

김 변호사는 “피해자들은 왜 이처럼 직접 나서야 하는지, 가해자들과 국가기관은 왜 계속 침묵하고 있는지 반문하고 싶다”며 “피해자들은 다시 요청한다. 조선일보는 잘못된 기사를 정정하고 사과하기를 바라며, 경찰청 또한 신속하게 수사를 진행하고 피해자들과의 소통을 피하지 말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