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고금리, 고환율, 고물가...서민은 어떻게 살라는 건가

16일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금리 인하 시기를 시장 예상보다 늦출 것이라는 발언을 내놓았다. 그동안 인플레이션이 2% 아래로 내려갈 시기가 "멀지 않았다(not far)"고 말했던 파월 의장은 이날 기존의 관측을 뒤집었다. "최근 경제 지표는 확실히 더 큰 확신을 주지 못하고 있"고 "오히려 그런 확신에 이르기까지 기대보다 더 오랜 기간이 걸릴 것 같다"는 것이다.

파월 의장의 발언은 미국의 금리 인하가 늦어질 것이며, 이에 따라 달러 강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을 낳았다. 이렇게 되면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시기도 빨라야 4분기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악재는 더 있다. 이스라엘과 이란의 충돌이 좀처럼 진정될 기미가 없다. 이미 세계적 리더십이 약화된 미국의 바이든 행정부는 중동 분쟁을 힘으로 억누르지 못했고, 이에 따라 국제 유가는 상승하고 있다. 이달 들어 두바이유 가격은 90달러 위로 치솟았고, 나프타 등 관련 제품의 가격도 모두 올랐다.

외환시장 변동성이 커진 것도 문제다. 16일 외환시장의 원·달러 환율은 장중에 1400원까지 오르는 등 연일 연고점을 갱신 중이다. 워싱턴에서 일본 재무장관을 만난 최상목 기획재정부 장관이 "급격한 외환 시장 변동성에 대응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며 구두 개입을 할 정도다. 그러나 미국의 인플레이션과 국제 정세를 고려하면 이런 추세가 쉽게 잦아들 것 같지는 않다.

고환율과 고금리, 고유가는 결국 물가인상으로 이어진다. 총선에서 크게 이슈화된 사과나 대파는 물론이고 품목을 가리지 않는 가격 인상은 이미 체감 중이다. 여기에 전기와 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이 따라붙을 가능성이 크다. 신한은행이 17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 월평균 소득이 전년보다 4.4% 늘었지만, 월평균 소비는 5.7%가 늘었다고 한다. 물가 탓에 소득이 줄어든 꼴이다. 여기에 이자 부담까지 감안하면 살림살이는 크게 나빠졌다.

민생의 마지막 버팀목은 정부가 될 수밖에 없다. 윤석열 대통령도 16일 "민생속으로 더 깊숙이 들어가서 국민의 삶을 더 적극적으로 챙기겠다"고 말한 바 있다. 그렇다면 실제적인 방안이 나와야 한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제안한 국민 1인당 25만원(가구당 평균 100만원)을 지급하는 내용의 민생회복지원금도 검토해 봐야 한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